[회계] 단기차입금과 장기차입금, 그리고 비유동성장기차입금

대학공부 2018. 12. 14. 01:34

기업이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한 것을 차입이라고 합니다. 차입금은 상환일에 따라 단기차입금과 장기차입금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차입당시 만기가 1년 이내인 경우 즉 1년 이내에 갚아야 하는 경우를 단기차입금 이라고 하고, 차입당시 만기가 1년 이상인 경우를 장기차입금 이라고 합니다.


장기차입금이 시간이 지나면서 만기가 1년 이내로 도래할 경우 유동성장기차입금으로 대체 해줘야 합니다. 비유동부채가 유동부채가 되는 것입니다.



<단기 차입금의 차입>
(차) 현 금 xxx (대) 단기차입금 xxx

<단기 차입금의 상환>
(차) 단기차입금 xxx (대) 현 금 xxx

<장기 차입금의 차입>
(차) 현 금 xxx (대) 장기차입금 xxx

<장기 차입금의 유동성 대체>
(차) 장기차입금 xxx (대) 유동성장기차입금 xxx

<장기차입금의 상환>
(차) 유동성장기차입금 xxx (대) 현 금 xxx


admin